본문 바로가기
복지관 사례관리 공부노트 2021. 8. 30.
당사자의 개인정보를 넘겨주지 않습니다. 당사자의 개인정보를 넘겨주지 맙시다. 사례관리 하면서 당사자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당사자의 개인정보를 넘겨준 경우가 많습니다. 물품지원사업을 할 때 그런 경우가 종종 벌어집니다. 물품지원사업의 신청기간이 촉박할 때가 종종 있고, 한번 지원할 때 여러 사람을 지원해야 하니 일일이 찾아뵙거나 전화하기 부담스러운 겁니다. 사회사업가가 일방적으로 필요한 사람의 리스트를 만들어 발송합니다. 물품 받고 나서 당사자에게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려운 사람에게 도움을 준다는 이유로 묻지도 않고 당사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잘못된 일입니다. 저도 이런 잘못을 여러번 했습니다. 당사자는 후원물품 받는 입장이니 어쩔 수 없이 고맙다고 할지 모르지만, 마음속으로는 불편할지 모릅니다. 저도 어딘가에서 이런저런 .. 2017. 8. 20.
지출관리를 도우면 좋겠다. 사례회의 하면서 든 생각 지출을 어느정도라도 파악하고, 당사자가 어떻게 지출되는 비용을 조정하면 좋을지 함께 의논해야 합니다. (결국 어떻게 지출을 하느냐에 따라 생활의 위험정도가 달라집니다.) 수입도 중요하긴 하지만, 우리가 만나는 분들은 딱히 수입을 늘어나게 할 만한 방법이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지출에 더 신경을 쓰게 되는 것 같습니다. # 당사자의 삶이니 당사자가 선택하여 살아가게 하시면 되겠지요. 그래도 사회복지사가 바라는 욕구(당사자에게 희망하는 삶)도 있으니... 이도 무시못합니다. 2016. 3. 18.
문제보다는 희망을 이야기 하자 오늘 사례관리 판정회의 했습니다. 담당 선생님이 지역주민 중 한 어르신의 딱한 사정을 이야기 해주셨습니다.선생님이 바라보시는 어려운 점이 고스란히 녹아있습니다. 어려운 점이 줄줄 꾀어 나옵니다. 듣고 있으니 가슴이 막히고, 답답합니다. 문제마다 해결하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아마도 사례관리 판정회의이니 문제가 더 들어나는 것 같습니다. 저도 돌아보니 그렇게 했던 것 같습니다. 이제는 사례관리팀을 떠났지만 여전히 숙제입니다. # 사례관리 판정회의라도 희망을 이야기 했으면 좋겠습니다. 특히, 당사자가 바라보는 희망, 당사자의 입으로 이야기한 희망을 이야기 했으면 좋겠습니다.그 희망에서 할 일을 찾았으면 좋겠습니다. 2016. 3. 11.